AI융합교육전공
▶ 교육 목표
-
- 다양한 형태로 제공되는 데이터 특성을 체계화하고 자동화 방법을 고안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춘 교육 인재의 육성
- ○ 알고리즘 최적화, 기계학습, 수리통계, 산업데이터 모델링
- ○ 기초연구를 바탕으로 교육 분야에서 인공지능을 교육할 수 있는 인재의 육성
- ○ 전공분야: 인공지능
- ○ 연구분야: 알고리즘 기반 머신 러닝, Deep Neural Network, Convolution Neural Network, Recurrent Neural Network, 생성 모델
교육행정전공
▶ 교육 목표
-
- 가. 교육행정가로서의 능력과 자질을 함양한다.
- 나. 교육현장에서 발생하는 제 문제를 과학적으로 탐구하고 해결할 수 있는 연구능력 기른다.
- 다. 정보화ㆍ세계화 시대로의 변화를 이해하고 교원으로서 자기혁신과 자기 개발 능력을 기른다.
국어교육전공
▶ 교육 목표
-
- 가. 현직 중등교원 또는 그 자격증 소지자
- 1) 교과교육학과 교과내용학으로 구성된 전공과목을 균형 있게 수강하여 참신하고 효율적인 국어과 교수방법을 터득한다.
- 2) 창의성 있는 국어과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교육 보조자료 제작 능력을 함양한다.
- 나. 중등학교 교원 자격증 취득을 희망하는 자
- 1) 내용학(국어국문학)에 더하여 중등교원 자격에 합당한 교과교육학 관련 지식을 학습한다.
- 2) 내용학(국어국문학)에 더하여 교과교육학 전공 지식을 학습한다.
- 3) 효율적인 국어과 교수방법과 국어과 교육 프로그램 개발능력을 함양한다.
- 다. 중등 국어교육 분야의 연구를 희망하는 자
- 1) 학술적 탐구 능력과 이론 구성 역량을 함양한다.
- 2) 국어교육 현장의 문제를 탐색하고 그 해결 방안을 모색한다.
미술교육전공
▶ 교육 목표
-
- 가. 미술교육 전문가로서 갖춰야할 기본적인 이론, 실기능력, 태도와 자질을 습득 한다.
- 나. 미술작업의 창조적 기능과 가치를 판단할 수 있는 미적 능력을 배양하고 이를 통해 학생들이 심미적 능력을 함양하는 다양한 교육방법을 개발 할 수 있는 연구능력을 기른다.
- 다. 글로벌 시대의 다원화된 현실 정보화 시대의 시각환경의 전환 등 현실의 급속한 변화에 대처하여 그에 합당한 강의와 교육을 시행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
상담교육전공
▶ 교육 목표
-
- 가. 학교 상담교사로서의 전문적 자질과 능력을 배양한다.
- 나. 학교현장을 중심으로 학생들을 지도·상담하는데 필요한 기초적인 지식과 기술을 습득한다.
- 다. 아동 및 청소년문제를 효과적으로 지도·상담할 수 있는 다양한 상담방법으로 개인·집단·가족상담의 이론과 실제 및 각종 심리검사를 훈련한다.
수학교육전공
▶ 교육 목표
-
- 가. 수학 교과의 심화 내용 학습과 학교수학 지도를 위한 연구를 바탕으로 수학 교수-학습에 대한 이론 및 실제를 이해한다.
- 나. 전문 수학 교사가 되기 위한 능력, 자질, 품성을 함양한다.
- 다. 변화하는 미래의 교육 환경에 적응할 수 있는 교수 능력을 개발한다.
영어교육전공
▶ 교육 목표
-
- 가. 영어 교육자로서의 자질 및 지식을 기르고 영어 수업을 계획하고 실행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한다.
- 나. 영어 전문가로서 갖추어야할 영어에 대한 전문적 지식을 향상시키고 영어 활용 능력을 개발한다.
- 다. 급변하는 영어 교육 환경의 문제를 예측하고 이를 과학적으로 탐구하고 해결할 수 있는 연구능력을 기른다.
- 라. 국제화 시대의 세계 시민 교육을 이끌어갈 수 있는 창의적 리더십을 개발한다.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전공
▶ 교육 목표
-
- 가. 영어 교육자로서의 자질 및 지식을 기르고 영어 수업을 계획하고 실행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한다.
- 나. 영어 전문가로서 갖추어야할 영어에 대한 전문적 지식을 향상시키고 영어 활용 능력을 개발한다.
- 다. 급변하는 영어 교육 환경의 문제를 예측하고 이를 과학적으로 탐구하고 해결할 수 있는 연구능력을 기른다.
- 라. 국제화 시대의 세계 시민 교육을 이끌어갈 수 있는 창의적 리더십을 개발한다.
음악교육전공
▶ 교육 목표
-
- 가. 음악과 교원으로서의 자질과 능력개발
- 음악의 다양한 분야에 대한 연구와 연주활동, 그리고 체계적인 교육을 통해 자신이 가지고 있는 자질을 극대화시키며 더욱더 그 능력을 향상시켜 사회에 이바지 한다.
- 나. 전문화 교육
- 음악이 사회에서 차지하는 세분화된 기능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학습을 통해 효과적인 음악교육 프로그램을 개개인이 주지하며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 다. 진취적 이상을 가진 교육
- 세계화 정보화시대의 음악교육의 변화를 이해하고 응용하여 창조적이고 진취적인 교원으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체육교육전공
▶ 교육 목표
-
- 체육교육 전공의 교육목적은 인성교육의 근간이 되는 학교체육의 중요성을 깊이 인식하게 하고, 발전된 체육학 관련 지식 및 정보의 탐구를 통하여 합리적이고 체계적인 체육 교수방법을 교육현장에 적용․발전시킬 수 있는 자질 있는 체육교사를 양성하는 데 있다.
- 가. 체육학에 관한 학문적 탐구능력을 배양한다.
- 나. 체육학의 이론과 실제를 고루 육성한다.
- 다. 체육지도자로서의 전문적 자질을 함양한다.
- 라. 체육교수이론에 능통한 전문가 양성을 목표로 한다.
특수교육전공
▶ 교육 목표
-
- 특수교육 전공은 석사학위 과정으로서 유․초․중등 특수교사와 장래의 특수교사 희망자들에게 특수아동 교수방법의 개선 및 연구의 기회를 주고, 특수교육을 통한 복지국가 구현에 필요한 인재를 양성하는 지도자적 자질과 전문성을 개발 증진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특수교육 전공에서는 특수 아동의 교육을 위한 심도 있는 교과과정을 개발하여 시대의 변화에 부응하는 교육내용을 제공하고자 한다.
구체적인 교육목표는 다음과 같다.
- 특수교육 교육자로서의 자질과 실행능력을 함양한다.
- 가. 특수교육의 다양한 영역에 대한 체계적 지식을 갖춘다.
- 나. 통합교육 현장에서 특수아동을 지도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한다.
- 다. 특수교육 연구자로서의 기초 능력을 개발한다.
- - 특수교육의 연구방법에 대한 이해를 갖춘다.
- - 특수교육 현장에서 특수교육 연구방법을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춘다.
평생교육·다문화교육전공
▶ 교육 목표
-
- 가. 평생교육전문가와 다문화교육 전문가로서의 능력과 자질을 함양한다.
- 나. 글로벌사회의 제 문제를 과학적으로 탐구하고 해결할 수 있는 연구능력을 기른다.
- 다. 글로벌 시대에 있어서 사회적 변화를 이해하고, 평생교육자로서 자기역량 개발과 지역사회 다문화교육을 위한 연구능력 및 강의능력을 함양한다.
한문교육전공
▶ 교육 목표
-
- 가. 깊이 있는 전공 지식과 훌륭한 인격을 겸비한 중등학교 한문교사와 중등 교육계의 지도자를 양성한다.
- - 중등학교 한문교사에게 필요한 양질의 전공 지식을 제공하여 교육현장에서 보다 효과적인 한문 교육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 - 한문 고전에 대한 전문지식과 수준 높은 교수학습지도 역량을 갖춘 한문교사를 양성한다.
- - 한문교육을 통하여 인성을 도야하고 도덕성을 함양하며 교육 문제를 해결하고 정책적 비전을 제시할 수 있는 교육계의 지도자를 양성한다.
- 나. 한문을 전공한 문화 창조 인력을 양성한다.
- - 한문 고전에 대한 깊은 이해를 바탕으로 하여 다양한 발상과 도전으로 새로운 문화와 예술 콘텐츠를 개발함으로써 한문교육에 대한 사회적 수요에 부응하는 한문교육 전문가를 양성한다.
- - 한국학 및 동양 고전학 연구의 심화와 발전에 기여하는 전문 번역인을 양성한다.
- - 고전 인문학의 정수인 문(文), 사(史), 철(哲)을 연구하는 전문연구자를 양성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