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사정보

3학년

상담심리학과 전공 교과목 소개입니다.

3학년 과목명, 소개 정보표
과목명 소개
상담기술 ( Counseling Skill ) 상담과 관련된 매체활용이나 대화기법의 기본적 이해 응용을 통해 상담 기술과 지식을 증진시키고 응용성을 높이고자 한다.
상담실습 ( Counseling Practice ) 상담이론과 관련된 다양한 실무를 경험하고 실습함으로써 상담이론에 대한 이해와 상담실무능력을 증진시키고자 한다.
심리평가 ( Psycholocal Assessment ) 상담장면에서 진단과 평가를 위해 활용되는 다양한 심리점사의 유형을 탐색하고, 표준화 검사의 실시와 해석방법의 기초를 학습한다.
상담행정실무 ( Counseling Practical works ) 상담서식과 양식 작성법, 상담 유관 기관과의 연계와 근무, 관련자원 활용 등 상담행정실무 전반을 공부하고자 한다.
성인및노인발달 ( Developmenatal Psychology of Adulthood and Elderlyhood ) 평균 수명의 증가로 인해 성인기 및 노년기 발달과정의 중요성은 날로 커지고 있다. 이에 본 수업에서는 성인기 및 노인기발달에 대한 이론을 살펴보고, 성인기와 노년기 동안 이루어지는 신체적, 심리적, 성격적 특성과 변화에 대해 학습한다. 이를 통해 전생애발달적 관점에서 성인 및 노인기에 대한 심리학적 지식을 학습하는 것뿐만 아니라 전생애발달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힘으로써 고령화 사회에 대비하는 통찰력을 가지는 것을 목표로 한다.
아동상담 ( Child Counseling ) 아동의 신체적, 심리적 변화에 따른 발달상의 특성과 아동을 대상으로 하는 상담 방법 및 상담과정, 상담 기법 등을 학습한다.
중독상담 ( Addiction Counseling ) 중독의 개념 및 특성에 대해 이해하고 중독을 예방 및 개입하기 위한 상담적 접근 방법에 대해 학습하고자 한다.
진로상담 ( Career Counseling ) 진로의 발달과정 및 선택, 진로상담의 여러 모형에 관한 이론적 고찰을 토대로 진로문제의 상담에 필요한 기본 지식을 학습한다.
청소년상담 ( Counseling of Adolescents ) 청소년의 심리적 특성 및 문제들을 이해하고, 청소년의 특성과 요구에 부응하는 효과적인 상담접근과 방법에 대해 학습한다.
행동연구설계 ( Research Methods in Counseling psychology ) 상담심리학 분야의 연구에서 활용되는 다양한 연구 설계와 분석방법을 탐구한다. 연구문제나 목적의 적합성 여부, 적절한 표집 수와 표집방법, 연구목적에 적합한 연구설계법을 선정하는 등에 관한 연구를 포함한다.
좌우 스크롤

좌우로 움직여서 내용을 확인하세요.